360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경제 유튜버 '슈카월드'가 990원 소금빵 등 초저가 베이커리 팝업스토어를 열자 자영업자와 소비자 간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빵집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폭리를 취하는 이미지가 생길까 봐 우려하는 반응이다. 반면 소비자 반응은 호의적이다.
슈카월드는 공간·브랜드 기획사 글로우서울과 협업해 오는 30일 서울 성수동에서 'ETF 베이커리'를 운영한다. 주요 메뉴 가격은 소금빵·베이글·바게트 990원, 식빵 1990원, 명란바게트 2450원, 단팥빵 2930원 등으로 책정됐다. 팝업은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기획으로, 슈카월드는 빵값 구조와 원재료 비용 등을 직접 분석한 콘텐츠도 공개했다.
한편, 슈카월드 유튜브를 통해 빵 가격이 알려지자 빵집 자영업자들은 불편한 심정을 드러냈다. 슈카월드로 인해 자신들이 폭리를 취한다는 이미지가 생길까 봐 우려된다는 반응이다.
한 제빵사 A 씨는 "빵 하나 원가만 1000원인데 990원은 불가능하다"며 "폭리 이미지가 씌워질까 두렵다"고 했다. 또 다른 자영업자 B 씨는 "손님들이 '왜 이렇게 비싸냐'고 따지며 발길을 돌린다"며 "새벽부터 고생하는데 허무하다"고 토로했다.
반면 소비자 반응은 호의적이다. "소금빵을 3000원에 파는 게 오히려 이상하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싼 가격이 왜 욕먹느냐"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다만 "팝업 특성상 가능한 가격인데, 이를 일반 빵집에 대입하는 건 무리"라는 지적도 나온다.
공정거래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빵값이 비싼 이유로 높은 인건비(28.7%)와 복잡한 유통 구조, 밀 수입 의존도를 꼽는다. 이는 전체 식품 제조업 평균인 8.1%의 3배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특히 프랜차이즈는 빵 원가 중 판매관리비가 42.4%를 차지한다. 슈카월드 팝업은 산지 직송으로 원가를 줄였다는 설명이지만, 현장의 자영업자들이 체감하는 원가 구조와는 거리가 있다는 분석이다.
'ETF 베이커리'는 단순 판매가 아닌 사회 현상 체험 프로젝트라는 취지로 운영된다. 글로우서울은 "빵값은 비싸다'는 인식을 뒤집고 일상적으로 즐길 수 있는 베이커리를 지향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