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 2025-02-17 15:27:50
교육감 선거엔 여야가 없다지만, 이번 4·2 부산시교육감 재선거 결과는 ‘조기 대선’의 바로미터가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5월 초 조기 대선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 속 4월 재보선은 대선 직전 부산 민심 풍향계나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여야 정치권도 4월 재보선 최대 무대인 부산 민심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17일 정치권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4월 재보선이 이뤄지는 선거구는 이날 기준 22곳이다. 부산에서는 교육감 재선거가 이뤄지고 시·구·군의장 선거(4곳), 시·도의원(8곳), 시·구·군의원(9곳)이다. 전국 22개 선거구 재보궐 선거 중 부산시교육감 재선거의 체급이 가장 크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정치 양극화가 심화하고 부산 민심도 요동쳤던 만큼, 여야 정치권도 물밑에서 부산시교육감 재선거 민심 추이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여권은 최근 부산에서 두드러지는 국민의힘과 윤 대통령 지지율 상승세에, 야권은 12·3 비상계엄 선포에 따른 정권교체론 동력에 각각 초점을 두고 있다.
이날 기준 부산시 교육감 재선거 예비후보로 등록한 사람은 정승윤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전영근 전 부산시교육청 교육국장, 박종필 전 부산시교육원단체총연합회 회장, 차정인 전 부산대 총장, 김석준 전 부산시 교육감, 박수종 전 전국진로진학상담교사협의회 회장, 황욱 전 김해여고 교장 등 7명이다. 최윤홍 부산시교육감 권한대행도 출마 결심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출마 선언을 통해 ‘자유민주주의 교육 강화’을 내건 정 교수는 ‘친윤’(친윤석열) 인사로 꼽힌다. 검사 출신의 정 교수는 윤 대통령 대선캠프 정책본부 공정법치분과위원장과 대통령직 인수위 전문위원을 맡았고,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내며 일선에서 야당의 공세를 방어했던 인물이다. 최근 부산 내 여권 지지율이 오르고 정권연장론이 정권교체론을 앞지르면서 이 추이가 정 교수에 대한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중도·보수진영의 전 전 국장, 박 전 부산교총회장과 등도 최근 여론조사에서 경쟁력을 드러내며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
중도·진보진영에서는 김 전 교육감과 차 전 총장이 각축전을 벌이는 모양새다. 재선 교육감을 지낸 김 전 교육감과, 부산대 총장을 지낸 차 전 총장은 각각 높은 인지도와 체급을 앞세우고 있다. 다만 김 전 교육감은 사법리스크를 안고 있다는 점이 약점으로 꼽힌다. 차 전 총장의 경우 총장 시절 조민 씨 의학전문대학원 입학취소 결정을 내린 바 있어 이들에겐 ‘범야권 끌어안기’가 숙제로 꼽힌다. 현재 보수·진보 진영 모두 단일화에 진통을 겪는 만큼, 교통정리를 통한 후보 추대는 양측의 과제다.
혼탁한 탄핵 정국 속 연령별 투표율도 핵심 변수로 꼽힌다. 2022년 제8회 지선에서 중도보수 후보가 단 1.65%포인트(P) 차로 중도진보 진영 후보를 앞섰다. 통상 교육감 선거는 4050세대의 학부모 위주로 이뤄졌지만, 정권연장·교체론이 맞붙는 이번 재선거에서 2030세대 투표 참여가 전보다 높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권연장과 정권교체 의견이 맞붙으며 8회 부산교육감 선거 투표율(49.09%)보다 높을 것이란 분석도 적지 않다. 여야 정치권의 기대가 공존하는 이유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이제는 정치 참여에 소극적이었던 2030세대가 깃발을 흔들고, 6070세대가 아이돌 응원봉을 잡고 거리로 나서는 시대다. 4월 재보선은 전 세대의 적극적인 투표가 벌어질 무대가 될 것”이라며 “5~6월 조기 대선이 이뤄질 경우 재보선 결과가 대선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