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 뒤 단일화” 김문수의 역제안…당 지도부·한덕수 “하지 말자는 얘기”

‘11일까지 단일화’ 거부 재확인, 일주일 선거운동 제안
기호, 비용 문제 등 현실 문제 첩첩, “불가능한 일” 일축
당 지도부 강제 교체 시사 불구 당내서도 “현실성 없어”
다만 무산은 양측 모두 부담…11일 지나 국면 달라질 수도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2025-05-08 17:37:28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오른쪽)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8일 서울 국회 사랑재에 위치한 커피숍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오른쪽)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8일 서울 국회 사랑재에 위치한 커피숍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단일화 시한으로 설정한 11일을 사흘 앞둔 8일에도 김문수 대선후보의 입장은 완강했다. ‘당 후보를 끌어내리기 위한 강압적 단일화’에는 응할 수 없다는 것이다. 김 후보는 대신 ‘일주일 선거운동 뒤 여론조사 단일화’를 역제안했다. 자신과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각각 후보 등록을 한 뒤 단일화를 하자는 것인데, 현실적으로 당도, 한 후보도 수용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6·3 대선 보수 진영의 마지막 희망과도 같았던 ‘빅텐트’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커졌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긴급 기자회견에서 11일까지 단일화를 압박하는 당 지도부를 맹비난하면서 “일주일간 각 후보는 선거 운동을 하고 다음 주 수요일(14일)에 방송 토론, 목요일(15일)과 금요일(16일)에 여론조사를 해서 단일화하자”고 제안했다. 현재와 같은 강압적 단일화로는 시너지를 내기 어렵고, 후보 검증을 위한 최소한의 시간도 필요하다는 취지다.

그러나 지도부는 한 후보 측은 “사실상 단일화를 하지 말자는 얘기”라며 즉각적인 거부 반응을 보였다. 앞서 한 후보는 전날 김 후보와 1차 회동에 앞서 “11일까지 단일화가 안 되면 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고 배수진을 쳤다. 김 후보의 제안을 수용하려면 한 후보는 우선 자신이 뱉은 말을 곧바로 뒤집어야 하는 부담이 생긴다.

이런 명분의 문제도 있지만, 현실적인 이유는 훨씬 크다. 만약 일주일 뒤 한 후보로 단일화가 될 경우 한 후보의 득표력이나 국민의힘이 한 후보를 지원하는 데 엄청난 제약이 생긴다. 우선 한 후보는 국민의힘 기호 2번을 쓸 수가 없다. 최소 기호 8번 이상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실상 원내 제2 정당 후보임에도 무소속 후보로 출마할 경우, 고령 유권자 등에 혼선을 주면서 적잖은 득표 손실을 볼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여기에 공직선거법 위반 소지도 커진다. 후보 등록 이후에는 선거법상 국민의힘이 한 후보를 지원하는 데에는 상당한 제약이 생긴다.선거 운동 비용을 쓸 수도 없고, 쓴다고 하더라도 보전 받을 수가 없다. 가장 큰 문제는 김 후보가 12일부터 본 선거 운동에 들어갈 경우, 당은 인쇄물, 플래카드, 유세차 등 선거운동에 필요한 각종 지원을 곧바로 해야 할 상황이다. 비용이 수백억 원대 규모이며, 대출을 통해 마련해야 한다는 게 당내 얘기다. 만약 그 며칠 뒤 한 후보로 단일화가 되면 이 돈도 허공으로 날아가게 된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사실상 할 수 없는 것을 주장한다”고 반응한 이유다.

한 후보 역시 자신을 중도 포기 시키려는 속셈으로 본다. 한 후보가 당의 지원을 받지 못한 채 후보 등록을 하게 되면 3억 원의 기탁금, 본 선거 운동 비용을 스스로 마련해야 한다. 단일화 선거에 지면 고스란히 날리는 돈이다. 엘리트 관료 출신인 한 후보가 이런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겠느냐는 시각이 정치권에 적지 않다. 한 후보 캠프의 이정현 대변인은 “국민의힘 당원의 86.7%가 11일 이전 단일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공개됐음에도 다음 주에 하자는 것은 정말 궁색하지 않느냐”며 수용 불가 입장을 보였다.

그럼에도 김 후보의 현재 태도를 감안하면 10~11일 후보 등록을 강행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당 지도부가 이날 단일화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강제 교체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당내 법률가 출신 의원들은 “법적 공방으로 인해 당이 더욱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한다. 현실화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다만 단일화 무산은 ‘대선 필패’라는 점에서 11일 시한을 넘길 경우, 국면이 달라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당 일각에서는 한 후보를 개별적으로 지원하면서 내주 단일화 여론조사에 임하도록 설득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한 후보가 자신의 최대 공약인 ‘임기 단축 개헌’을 김 후보가 수용토록 한 뒤 사퇴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한 후보로서는 마지노선인 11일까지 숙고를 거듭할 것으로 보인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