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우수관로에 동강 난 해수욕장, 이대로 7월 첫 개장?

상가 단지 빗물 배출용 관로
해변 한복판 버젓이 가로질러
미관 해치고 안전사고 위험
사하구, 여러 차례 이설 요구
부산항건설사무소, 매번 묵살
문제 소지 알고도 안이한 행정
이설 위한 예산 확보도 난관
빛 바랜 ‘명품 해수욕장’ 꿈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2025-05-07 21:00:00

연안정비 사업을 마치고 올해 첫 개장하는 부산 사하구 다대포해수욕장 동쪽 해안의 백사장 한가운데로 우수관로가 지나가고 있다. 이재찬 기자 chan@ 연안정비 사업을 마치고 올해 첫 개장하는 부산 사하구 다대포해수욕장 동쪽 해안의 백사장 한가운데로 우수관로가 지나가고 있다. 이재찬 기자 chan@

12년에 걸친 연안 정비 끝에 올해 첫 해수욕장 개장을 앞둔 부산 다대포해수욕장 동쪽 해안이 백사장 한가운데 놓인 우수관로 탓에 ‘반쪽짜리’ 개장 위기에 놓였다. 해수욕장 미관을 해치고 피서객 안전을 위협하는 우수관로 이설에 대해 필요성과 논의가 계속됐으나 정비사업 과정에서 묵살돼 ‘흉물 해수욕장’이 탄생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7일 부산 사하구청에 따르면, 오는 7월 다대포 해안 동측지구 백사장이 해수욕장으로 개장한다. 이곳 백사장은 지난해 11월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가 ‘다대포해안 동측지구 연안정비사업’을 마쳤다. 백사장은 폭 50m, 길이 550m다.

부산항건설사무소는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12년간 국비 335억 원을 들여 방재호안, 수중방파제를 조성하고 4만 9000㎡의 모래를 투입해 해수욕장을 조성했다. 당시 지역 정치권에서는 명품 해수욕장 조성으로 이 일대 경제가 활성화할 것이라고 홍보했다.

하지만 해수욕장 한복판에 우수관로가 버젓이 놓이면서 이 같은 예산 투입은 빛이 바래고 있다. 우수관은 해수욕장 뒤편 상가 단지 일대에서 흘러드는 빗물 등을 바다로 배출하는 용도로 정비사업 전인 1980년대부터 조성돼 있었다. 부산항건설사무소는 우수관을 가리기 위해 석벽을 조성했는데 이로 인해 길이 550m 해수욕장이 반으로 쪼개졌다. 벽을 세웠지만 여전히 아무나 우수관 구멍에 접근할 수 있어 자칫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이 안전사고에 휘말릴 위험까지 제기된다.

부산항건설사무소는 정비사업 당시 우수관 이설을 검토했었다. 2016년 이곳 백사장에 방재호안을 조성할 당시 우수관이 끝나는 위치를 해수욕장이 아닌 인근 성창방파제로 옮기는 방안이 검토됐다. 하지만 설계 과정에서 역류 등 배수 능력이 약화한다는 이유로 해당 방안이 철회됐다.

부산항건설사무소 측은 해안 침식 예방 등에 정비 사업 초점이 맞춰졌다고 해명했다. 해수욕장 조성이 사업 목적이 아니었기에 우수관 이설이 필수적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부산항건설사무소 관계자는 “다대포 해안 동측 지구는 당초 연안 보전이 목적인 사업”이라며 “친수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주목적이 아니기에 우수관을 그대로 두고 정비를 진행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정비 사업 직후 이곳이 해수욕장으로 활용될 때 우수관이 문제가 될 것이라는 점이 충분히 예견된 상황에서 부산항건설사무소가 안일한 행정을 했다는 비판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사하구청도 이곳을 해수욕장으로 활용하겠다며, 정비 사업이 이뤄지는 동안 여러 차례 사무소 측에 우수관 이설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사하구청은 해수욕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우수관 이설 실시설계 용역에 뒤늦게 나섰다. 용역에서는 우수관 출구를 몰운대 쪽이나 성창방파제로 옮기는 방안이 도출됐다.

하지만 우수관 이설을 위해서는 25억 원이 필요한데, 국·시비 확보가 필요한 상황으로 올해 당장 공사에 들어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사하구청은 펜스를 설치해 우수관 접근을 막고 해수욕장을 개장할 방침이다.

부산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이복조(사하4) 의원은 “올해 여름 해수욕장 개장으로 경제적 효과를 기대한 일대 상권도 반쪽짜리 해수욕장에 불만이 크다”며 “수백억 원이 투입돼 추진된 해당 사업이 너무나 허술하게 진행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특히 시민의 안전에도 위협이 될 수 있는 만큼 시의회 차원에서 면밀하게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