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FF 2025] 저스틴 민 “부산은 엄마의 고향…환대 감격스러워”

김진유 감독 '흐르는 여정'으로 부산행
영화 '애프터 양'으로 국내 팬들에 인기
영화의전당에서 열린 '아주담담' 토크
"가까이서 보자" 이례적 자리 선점 경쟁
"작품 선택 기준? 처음 봤을 때 끌려야"

김희돈 기자 happyi@busan.com 2025-09-24 14:54:08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토크 프로그램 '아주담담'에 참석한 저스틴 민. 정성운 인턴기자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토크 프로그램 '아주담담'에 참석한 저스틴 민. 정성운 인턴기자

“한국에 오는 경험은 항상 특별한데요, 마치 고향과도 같습니다.”

지난 22일 오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한창인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시네마운틴 6층 라운지에서 배우 저스틴 민의 ‘아주담담’ 토크가 열렸다. 300여 명의 팬이 몰린 행사장은 말 그대로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꽉 찼다. 관계자의 말을 빌리면 무대 앞자리를 선점하려는 경쟁이 오전 9시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행사는 오후 3시에 시작됐다.

사실 한국계 해외 스타들이 국내 팬을 만날 때 하는 인사 중 가장 흔한 게 “고향에 온 거 같다”라는 말이다. 저스틴 민도? 현장에서 느낀 바로는 아니올시다이다. 그는 곧바로 “부산은 엄마의 고향이기도 해 이런 환대가 감격스럽다”라는 말을 덧붙였다. 그의 부모님은 미국에서 세탁소를 운영했다.

미국에서 교포 2세로 태어난 저스틴 민은 단편독립영화에서 배우 근력을 키운 뒤 넷플릭스 드라마 ‘엄브렐러 아카데미’ 시즌 1·2에 연속 출연하며 본격적으로 경력을 쌓았다. 2022년 코고나다 감독의 ‘애프터 양’(2022)에서 안드로이드 로봇 ‘양’ 역으로 평단과 팬들의 이목을 끈 그는 곧이어 ‘성난 사람들’(2024)과 ‘위대한 히트’(2024)등 OTT 드라마 출연에 이어 ‘데블스 플랜: 데스룸’(2025)으로 예능까지 활동폭을 넓히고 있다.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에 참석한 저스틴 민(가운데)이 지난 22일 영화의전당에서 열린 '아주담담'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펼치고 있다. 정성운 인턴기자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에 참석한 저스틴 민(가운데)이 지난 22일 영화의전당에서 열린 '아주담담'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펼치고 있다. 정성운 인턴기자

이번 BIFF에는 김진유 감독의 영화 ‘흐르는 여정’ 팀과 함께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여름 한 달 정도 강릉시 주문진에 머물며 촬영했다는 그는 “TV 없는 방에서 조용히 독서를 즐기며 환상적인 시간을 보냈다”라고 당시를 돌아봤다. 이어 “아침엔 샐러드를 챙겨 먹었는데, 단 한 곳인 샐러드 식당을 매일 찾다 보니 사장님과 친해지기도 했다”고 소개했다.

저스틴 민은 ‘흐르는 여정’에서 엄마를 찾고자 무작정 한국에 온 교포 지휘자 민준 역할을 맡았다. 비전-한국 부문 상영작인 '흐르는 여정'은 춘희(김혜옥 분)의 남편 유품인 그랜드피아노를 연결고리로 그녀와 나누는 우정의 여정을 담았다. 저스틴 민은 김혜옥과의 호흡이 어땠냐는 질문에 “촬영 전에는 최대한 만나지 않으려 노력했다”고 답했다. 우연히 관계를 맺게 되는 설정처럼 낯선 상태에서 촬영 과정을 통해 서서히 가까워지는 게 맞는다고 생각했다는 설명이다.

김진유 감독의 '흐르는 여정' 스틸컷. BIFF 제공 김진유 감독의 '흐르는 여정' 스틸컷. BIFF 제공

저스틴 민은 앞서 지난 18일 열린 마리끌레르 아시아스타어워즈 시상식에서 ‘애프터 양’의 코고나다 감독과 수상자와 시상자로 재회했다. 그는 ‘애프터 양’에 대해 “한국 팬들이 이 작품으로 저를 좋아해 주시는 만큼 저에게도 정말 소중하고 의미가 큰 작품”이라고 밝힌 뒤 “코고나다 감독과도 협업을 이어갈 수 있기를 바란다”는 소망을 전했다.

그의 독특한 작품 선택 기준도 공개됐다. “사실 특별한 기준이 없다”고 말문을 연 저스틴 민은 곧이어 “작품을 만나는 시점이나 상황에 따라 감동이 다를 수 있다”라며 “간단히 말해 끌리는 작품을 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한국에서 계속 활동을 하고 싶다고 밝히기도 한 그는 “배우로서 이미 많은 것을 이뤘다”며 “이후로는 어떤 과제든 행복하게 임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하며 자리를 정리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