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체전] 부산 탁구, 39년 만의 종합우승…양궁 이은재 3관왕

탁구 금 4, 동 4…총 2270점
86년 우승 후 기적 같은 감격
영산대, 창단 첫 단체전 우승
우상혁, 체전 10번째 금메달
김영범 자유형100m 한국신

남태우 기자 leo@busan.com 2025-10-22 17:48:44

제106회 부산 전국체전에 참가한 부산 탁구선수단이 39년 만에 종합우승을 달성했다. 부산시 탁구협회 박종우 회장이 1등 단상에 올라 우승 트로피를 들어보이고 있다. 부산시체육회 제공 제106회 부산 전국체전에 참가한 부산 탁구선수단이 39년 만에 종합우승을 달성했다. 부산시 탁구협회 박종우 회장이 1등 단상에 올라 우승 트로피를 들어보이고 있다. 부산시체육회 제공

한국 탁구의 전설 유남규, 현정화를 낳은 부산이 전국체육대회에서 39년 만에 탁구 종합우승을 차지하는 기적의 감격을 맛봤다. 영산대 탁구부는 창단 이래 19년 만에 단체전 첫 우승의 기쁨을 누렸다. 복싱은 사상 첫 종합우승을 차지했고, 이은재(한국체대)는 양궁에서 부산 선수로서는 36년 만에 3관왕에 올랐다.

부산은 22일 끝난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탁구 종목에서 금 4, 동 4개를 따내 총 점수 2270점을 기록해 대전(2187점)을 누르고 종합우승을 차지했다. 부산이 전국체전 탁구에서 종합우승 자리에 오른 것은 지난 1986년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서울, 부산, 경기도에서 분산 개최된 제67회 대회 이후 39년 만이다. 부산은 당시 부산코카콜라가 여자일반부 단체전에서 우승하는 등 금 2, 은 4, 동 7개를 따내 총 1640점으로 종합우승했다.

2006년 창단한 영산대는 이번 대회 탁구 남자대학부 단체전 결승에서 경남 창원대를 3-1로 꺾고 정상에 올랐다. 영산대는 2008년 제89회 대회에서 권지희가 여자 개인전, 2011~2012년 제91, 92회 대회에서 이재훈이 남자대학부 개인전에서 금을 딴 적은 있지만 단체전 우승은 최초다.

부산선발은 남자일반부 단체전 결승에서 대구 삼성생명을 3-0으로 누르고 우승해 지난해 준우승의 아쉬움을 달랬다. 부산의 남자일반부 단체전 우승도 최초다.

영산대 이동혁은 남자대학부 개인전 결승에서 이호열(대전 한남대)을 3-2로 누르고 정상에 서 탁구 2관왕을 차지했다. 최효주(한국마사회)는 여자일반부 개인전 결승에서 박가현(대한항공)을 3-0으로 꺾고 우승해 지난해에 이어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여자일반부 개인전 2연패는 2015~2016년 제96회, 제97회 대회 서효원 이후 9년 만이다.

부산체고 출신인 이은재는 윤지희(동서대)와 짝을 이뤄 출전한 양궁 대학부 혼성단체전에서 우승해 대회 3관왕에 올랐다. 그는 지난 18일 남자대학부 90m, 다음날 50m에서 각각 우승했다. 이은재는 고교 재학시절에도 전국체전에서 금 1개를 따낸 바 있다.

부산 선수가 전국체전 양궁에서 금 3개를 한꺼번에 목에 건 것은 1989년 제79회 경기도 대회 때 윤일석 이후 36년 만이다. 부산이 양궁에서 금 3개를 획득한 것도 2001년 제82회 충남 대회 이후 24년 만이다.

박수민(남구청)은 볼링 여자일반부 마스터즈에서 2561점을 기록해 금을 따냈다. 정안성 등 4명으로 구성된 부산선발은 육상 남자대학부 4×400m 릴레이에서 3분14초28로 골인해 1위의 기쁨을 맛봤다. 조대희(부산시체육회)는 역도 남자일반부 89kg급 인상에서 164kg을 들어 올려 금메달을 차지했다.

부산은 복싱에서 금 3, 동 10개를 따내 전국체전 출전 사상 첫 종합우승을 달성했다. 박태산(부산체고)은 남고부 웰터급, 박담현(부산체고)은 남고부 라이트헤비급, 김형규(부산시청)은 남자일반부 슈퍼헤비급에서 금을 따냈다.

한편 김영범(강원도청)은 수영 경영 남자일반부 자유형 100m 예선 3조에서 47초39에 터치패드를 찍어 황선우가 2021년 도쿄올림픽에서 작성한 47초56을 4년 만에 0.17초 단축한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

우상혁(용인시청)은 육상 남자 일반부 높이뛰기 결선에서 2m20을 넘어 우승했다. 전국체전 개인 통산 10번째 우승.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