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 관세 일시 유예 검토 안 해… “많은 국가가 협상 애원”(종합)

유럽연합의 공산품 무관세 제안 일축
"불충분"하다며 비관세 장벽 언급
中 ‘맞불 관세’에 50% 추가 관세 위협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2025-04-08 06:28:0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 시간) 국가별 상호 관세 부과 등을 일시 중단하는 것과 관련, "우리는 그것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방미 중인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협상을 위해 관세 부과를 일시 중단하는 방안에 대해 열려 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통상 분야에서 판을 다시 짤 기회가 있다"면서 "우리를 이용했던 많은 국가는 이제 '제발 협상해 달라'(please, negotiate)라고 한다. 그들은 심하게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많은 나라가 우리와 협상하기 위해 오고 있다"면서 "그것은 공정한 계약이 될 것이며 많은 경우에 그들은 상당한 관세를 낼 것이다. 우리는 여러 국가와 엄청난 진전을 이루고 있다. 우리는 다시 경제적으로 강한 국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도 중국이 미국의 상호 관세에 맞춰 같은 수준(34%)의 ‘맞불 관세’를 부과키로 한 것을 비판하면서 이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재차 위협했다.

이어 시진핑 주석과의 개인전 관계를 거론하면서 "나는 중국을 존경하지만, 그들은 이렇게 할 수 없다"면서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에서) 막대한 흑자를 보고 그것을 군에 사용한다. 우리는 그것을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은 폐쇄된(closed) 국가이며 그들이 하는 일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면서 "만약 차나 다른 무엇을 팔려고 해도 가격이 통제 불능이기 때문에 아무도 사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다른 국가도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유럽연합(EU)이 미국 공산품에 대해 무관세를 제안한 것이 충분한지를 묻는 말에는 "아니다.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여러 국가가 당장 관세를 없애고 싶어 한다"면서 "관세는 큰 부분이지만 거기에는 다른 큰 부분이 있고 그것은 (비관세 무역) 장벽"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EU에 대해 "그들은 20피트(약 6m) 위에서 차에 볼링공을 떨어트린 뒤 (차에) 흠집이 생기면 '팔 자격이 없다'고 한다"며 "이들이 이런 규칙과 규제를 만든 단 하나 이유는 (다른 나라가) 그들 나라로 물건을 보내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관세 장벽에 대해서는 "그들은 어떤 것도 팔기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EU가 형성될 때부터 미국에 대응해 무역에서 독점적 상황을 만들었다고 주장한 뒤 "그것은 공정하고 상호적이어야 한다"면서 "우리는 EU에 3500억 달러의 적자가 있는데 그것은 곧 사라질 것이다. 그 이유 중 하나는 그들이 우리에게서 에너지를 살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미국의 전면적 관세로 다른 나라들이 중국과 가까워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나는 그것을 우려하지 않는다"라면서 "그들은 미국에 의지하고 싶어 한다"라고 말했다.

또 관세 협상에 대해 언급하면서 관세가 영구적일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모순적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그것은 둘 다 사실일 수 있다"면서 "관세는 영구적일 수 있으며 그것은 협상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관세 이상의 필요한 것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모든 나라와 공정한 협상, 좋은 협상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에는 상호 관세를 부과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우리는 러시아와 아무 비즈니스가 없다. 그들은 전쟁 중"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일부 미국 언론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를 90일간 일시 중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으나 백악관은 '가짜 뉴스'라며 부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모든 나라에 기본 관세율인 1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 관세 조치를 발표했다.

기본 관세 10%는 지난 5일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한국(25%)을 비롯해 미국이 이른바 '최악 침해국'으로 분류한 국가에 대한 국가별 상호 관세 조치는 9일부터 시행된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