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 2025-02-12 11:35:19
2026년까지 비수도권에서 개최되는 e스포츠 대회에 세제 혜택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이 10만 관객이 운집했던 ‘광안리 대첩’ 영광을 이어 나갈지 주목된다.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부산 북을) 의원에 따르면, 이같은 내용이 담긴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이 전날(11일) 기재위 조세소위를 통과했다.
개정안은 e스포츠 대회를 개최하는 기업을 상대로 대회 운영에 소요된 비용의 10%를 5년 동안 법인세에서 공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글로벌 게임산업은 올해 2823억 달러(약 391조 원)에서 2027년 3631억 달러(502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내 환경은 정반대다. e스포츠 대회가 감소하면서 구단들도 재정 악화로 인해 줄줄이 해체하고 있는 형국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국내 e스포츠 실태조사를 보면, 연봉 5000만 원 미만 선수는 70.9%에 달하며 2000만 원 이하는 28.6%에 달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게임 산업의 무한한 잠재력에도 국내에서는 게임단 해체와 선수단 고용불안 등 악순환 반복되고 있다.
특히 해당 개정안은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대회 개최지를 비수도권으로 제한했다는 점에서 지역에서는 관심이 쏠린다. 지스타를 비롯, 크고 작은 게임 축제들이 열리는 e스포츠 메카인 부산에 큰 혜택을 누릴 것이란 이유에서다. 부산은 전국 지자체 최초로 ‘e스포츠경기장’을 건립해 운영하고 있으며 또한 지역 연고 e스포츠 프로팀 또한 전국 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유치했다
박 의원은 “재정 기반이 열악했던 국내 e스포츠 산업을 활성화할 기반이 마련됐다”며 “지방 개최 대회에 대한 세액공제 조항이 신설된 만큼, 대표적인 e스포츠의 성지로 꼽히는 부산에서도 더 많은 대회가 열리고 관련 산업이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은 13일 기재위 전체회의를 거쳐 국회 본회의에 상정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