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인 기자 si2020@busan.com | 2025-04-13 14:52:4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따라 외환시장이 크게 요동치면서 지난주 원달러 환율 변동 폭이 67.6원까지 벌어졌다. 지난해 7월 외환시장 연장 이후 가장 크게 움직였다.
13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급변했던 지난주 원달러 환율 변동 폭(최고가-최저가)은 67.6원에 달했다.
외환시장 연장 이전으로 비교 기간을 넓혀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속도 조절 기대로 환율이 급락했던 지난 2022년 11월 7~11일(주간 변동 폭 101.0원) 이후 2년 5개월 만에 변동 폭이 가장 컸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 상호관세 우려에 지난 7일(37.9원)과 8일(11.2원) 내내 오르다가 상호관세가 발효된 지난 9일 주간거래에서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1487.6원까지 고점을 높이며 1500원에 육박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발효 13시간여 만에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는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밝히자 상황이 달라졌다. 환율은 9일 야간 거래에서 1472원까지 내린 뒤 10일(28.6원), 11일(35.4원) 이틀 내내 급락했다.
특히 11일 야간 거래 중에는 1420.0원까지 밀렸다가 1421.0원에 거래를 마치기도 했다. 이는 비상계엄 직후인 지난해 12월 5일(야간 거래 종가 기준·1417.3원) 이후 약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달러 가치도 하락세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지난 11일 장중 100선 아래로 밀리면서 99.005까지 떨어졌다. 이는 2022년 4월 이후 3년여 만에 최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미·중 간 관세 협상 여부가 향후 원달러 환율 수준을 결정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찬희 신한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중국과의 갈등 완화가 확인될 경우 달러화 반등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서정훈 하나은행 수석연구위원은 “관세 불확실성에 의한 경기 침체 우려가 미국 채권과 달러 수요를 견인할 것이라는 기대는 크지 않다”면서 “반면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가 물가 대응에서 침체 방어로 돌아서면서 시장 예상보다 더 많은 정책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 있다는 기대가 먼저 반영되고 있는 것”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