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만의 부산 전국체전 ‘준비 미흡’ 대회 운영 제대로 될까

럭비 구장 부지 아직 미확정
스쿼시 경기장은 울산 등 타진
완공 지연 우려로 추가 예산 지출
대회 뒤 경기장 활용도 불투명
부산시 종합 대책 마련 시급

김동우 기자 friend@busan.com 2025-04-14 19:40:00

지난해 10월 경남 김해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제105회 전국체육대회’ 개회식에 참석한 부산 선수단. 연합뉴스 지난해 10월 경남 김해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제105회 전국체육대회’ 개회식에 참석한 부산 선수단. 연합뉴스

25년 만에 부산시가 개최하는 전국체육대회(이하 전국체전) 개막이 6개월 앞으로 다가왔지만 일부 종목은 아직 경기장조차 확정되지 않아 대회 운영에 차질이 우려된다. 경기장 건립 차질로 예산이 추가로 들거나 폐막 이후 활용 방안도 불투명해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4일 부산시에 따르면 올해 10월 17일 개막하는 제106회 전국체전 50개 종목 가운데 테니스 산악 클라이밍 2개 종목의 경기장을 새로 짓는다. 나머지는 부산 내 기존 시설을 그대로 활용하거나 대회 규격에 맞게 확장해 쓰고, 타 지역 시설을 이용한다.

현재까지도 경기 장소가 정해지지 않은 종목이 있다. 부산시는 럭비의 경우 당초 삼락생태공원 내 럭비 구장을 활용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일대에 출몰하는 야생동물의 배설물로 인해 경기에 뛰는 선수들이 피부병에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끝내 무산됐다.

인근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탓에 야생동물 차단용 펜스를 설치하려면 낙동강유역환경청과 협의를 거쳐야 하는데, 개막까지 시간이 촉박했다는 이유다. 앞서 부산시는 대안으로 서구 구덕운동장도 고려했다. 하지만 구덕운동장을 홈구장으로 활용하는 부산 아이파크의 K리그 일정과 겹치면서 이마저도 불가능했다. 결국 부산시는 최근 영도구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캠퍼스 내 잔디 구장을 경기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해양대 측과 협의에 나섰다. 잔디를 정비하고 평탄화 작업, 배수로 공사 등이 필요하지만 경기 진행에 필요한 면적은 충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끝내 부산 내에 경기장을 마련하지 못해 경남이나 울산에서 열리는 종목도 있다. 부산시는 당초 국·시비 56억여 원을 들여 동래구 명륜동 동래사적공원 내에 있는 인공암벽등반장을 허물고 코트 6면 규모로 스쿼시 경기장을 세울 계획이었다. 하지만 사업 계획 사전 검토 과정에서 설계가 변경됐고 그에 따라 공원조성계획 변경 등 행정 절차도 지연됐다. 부산시는 계획했던 스쿼시 경기장의 규모를 줄여 추후 생활 체육 시설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경기장 준비가 차질을 빚으면서 예산이 추가로 투입되는 경우도 있다. 부산시는 기장군 월드컵빌리지에 12면 규모의 테니스 경기장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해당 부지가 농업진흥구역으로 지정된 탓에 이를 해제하고, 토지 소유주들에게 보상하는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보상비 포함 140억여 원이 투입되는데 이 절차가 늦어지면 개막 전 완공이 어렵다.

부산시는 이에 대비해 북구 화명생태공원 내 테니스장을 대회 규격에 맞게 확장하고 코트도 새로 짓고 있다. 이 과정에서 예산 37억여 원이 추가로 든다.

개막 전 경기장이 완공되더라도 대회를 마친 뒤 활용에 대한 우려도 남는다. 막대한 예산이 투입돼 경기장 등 시설이 조성되지만, 폐막 이후 생활 체육 시설 용도 외에 마땅한 활용 계획은 없다. 산악 클라이밍 등 비교적 생활 체육 인구가 적은 종목의 경우 그마저도 어렵다. 부산시는 전국체전을 위해 부산아시아드 주 경기장 내에 국·시비 39억여 원을 들여 산악 클라이밍 경기장을 조성하고 있다. 이 경기장은 향후 국제 대회 유치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부산시 이상연 전국체전기획단장은 “관련 절차가 늦어져 불가피하게 타 지역에서 치러지는 종목이 있지만 대회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경기장 활용 방안을 세워 매몰되는 비용이 없도록 하겠다”며 고 전했다.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도한영 사무처장은 “경기장 건립은 일정과 여론, 폐막 후 활용 방안 등을 감안해 꼼꼼하게 수립해야 한다”며 “기초적인 사항에서 부산시의 준비가 안일한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