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 2025-04-15 10:31:11
6·3 대선을 앞두고 용산 대통령실이 폐쇄론에 직면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물론 국민의힘 대권주자들도 용산 대통령실 이용에 선을 그으면서다. 대신 '청와대 복귀'와 '대통령실 세종 이전'이 유력한 대안으로 거론된다.
15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공직에서 대통령실에 파견된 일반 행정 요원들은 6·3 대선을 기점으로 원대 복귀한다. 최근 일반 임기제, 별정직 공무원 등 직원들의 용산 대통령실 이탈도 이어지는 추세다. 현직 대통령 부재로 대통령실에 상주하는 기자 수도 크게 줄어드는 등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용산 대통령실은 빠른 속도로 존재감을 잃어가는 분위기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대권주자들도 일제히 용산 대통령실에 선을 긋고 있다. 민주당 대권주자인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전날 "내란의 본산인 용산의 대통령실을 단 하루도 사용하지 않을 것을 여야가 함께 약속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김 전 지사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여야가 장소만 빨리 합의하고, 정부가 바로 이전 작업에 착수한다면 다음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용산이 아닌 집무실에서 임기를 시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도 용산 대통령실로 들어가는 데는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대표는 지난 대선 때 ‘세종 대통령실’ 설립 공약을 내놓기도 했다. 민주당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최근 “불법으로 쌓아 올린 ‘내란 소굴’ 용산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최고위원들도 용산 대통령실 폐쇄론에 힘을 싣고 있다. 민주당 김병주 최고위원은 "용산 대통령실은 부적절하다. 개인적으로 청와대 지역에 새로운 건물을 지어 들어가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대권주자들도 용산 대통령실을 꺼리고 있다. 대신 청와대 복귀를 주요하게 거론하고 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용산 대통령실은 불통과 주술의 상징"이라면서 "당연히 청와대로 복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전 시장은 청와대 복귀에 대해 "국격의 문제"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도 "청와대로 돌아가야 한다"며 "(청와대 부지) 나머지는 국민들에게 일부는 개방하고, 미국 백악관 모델을 차용하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동훈 전 대표와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장관, 유승민 전 의원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대해 "검토해 보겠다"는 입장이지만, 용산 대통령실 이용에는 선을 긋고 있는 상태다.
한편, 윤석열 정부 출범 초반 윤 정부가 내세운 대통령실 용산 이전 비용은 약 500억 원이다. 야권에선 영빈관 신축과 합동참모본부 이전 비용 등을 모두 합치면 이전 비용이 1조 원에 이를 것이란 비판도 제기된 바 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대권주자들 모두 용산 대통령실과 거리를 두면서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면 현 용산 대통령실 폐쇄는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