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 2025-04-14 17:23:18
정부가 올 상반기 안으로 제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이하 분산특구) 지정을 완료할 예정인 가운데, ‘부산형 분산특구’ 사업의 윤곽이 나왔다. 부산시는 ‘부산광역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이하 부산형 분산특구) 계획’(최종안)을 확정해 1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한다고 14일 밝혔다.
부산형 분산특구 계획에 따르면 사업 대상지(위치)는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EDC), 명지지구, 강서 산단(12개)을 아우르는 1579만 평(52.2㎢)으로, ‘신산업활성화’, ‘공급자원 유치’ 2가지 유형으로 추진된다.
사업 위치와 면적은 초안과 동일하다. 다만, 사업 유형은 ‘공급자원 유치’만 추진했던 초안과 달리 ‘신산업활성화’ 및 ‘공급자원유치’ 2개 유형으로 세분화했다.
부산형 분산특구 사업은 에너지신산업 발굴을 통한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 창출 및 무탄소 기반 분산에너지 보급 확대로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체계를 구축하는게 핵심이다.
부산은 높은 전력자립률 대비 서부산권은 낮은 분산화율(3.2%)로 지역발전이 저해되고 있다. 특히, 부산은 국내 해저광케이블의 90%가 밀집돼 있는데다 대도시 정주여건, 산학연계 인재양상 프로그램 등 우수한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글로벌 데이터센터 및 첨단기업 입주·유치가 가속화되는 등 아시아 지역 최적의 데이터센터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부산시는 ‘고부가 첨단산업 전환 및 유치를 통한 첨단산업 거점으로 성장’을 비전으로 △(1단계) 에너지 신(新)비즈니스모델을 통한 계통유연성 확보 및 에너지경쟁력 지원 △(2단계) 분산에너지 인프라 확대를 통한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공급을 통한 성장 기반 마련 △(3단계) 서부산권 고부가 첨단산업 육성을 통한 전력수요 유치를 통해 신(新)에너지 기반 산업 ‘부산형 종합특구’를 완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2027년까지 에너지신산업 실증 모델을 구현하고 2029년까지 융합플랫폼 활용 신규전력거래 모델을 구축하는 한편, 2028년까지 특화지역 내 분산에너지원을 확대해 2029년부터 전력직접거래를 통해 인근 첨단산업체에 한전보다 저렴한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향후 부산신항, 가덕 중심으로 특구 확장을 통해 분산편익을 활용한 반도체, 인공지능(AI)등 첨단기업을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주요 사업 내용을 보면 1단계로 추진되는 ‘신산업활성화’ 유형은 에너지신산업 성장동력 확보 및 글로벌 시장 선점에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 Farm(전력 500MWh·메가와트시) △에너지자립형 클러스터 △에너지통합플랫폼 등이 구축된다.
2단계로 추진되는 ‘공급자원 유치’ 유형은 분산 에너지 공급 확대를 통한 첨단산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수소혼소LNG병합발전소(전력 476MW(메가와트)+열 311Gcal(기가칼로리)/h) △수소연료전지발전(전력 30MW+열 20Gcal/h)을 조성하는게 핵심이다.
부산시는 부산형 분산특구 사업을 통해 전통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데이터센터, 에너지신산업과 연계한 에너지신산업 생태계로 조성함으로써 하이테크(High-tech) 산업으로 전환하는 한편 에코델타시티, 데이터센터 등 대규모 신규 수요에 대응하는 분산에너지 확보를 통해 안정적인 전력 및 열 공급을 추진할 방침이다. 부산형 분산특구 내 전기소비량은 2023년 3922GWh(기가와트시)에서 2030년 1만 4330GWh로 3.65배 늘어날 예정이다.
규제특례를 통한 전력직접거래 및 신규 거래모델을 통한 특화지역 내 에너지(전기·열) 요금 인하 효과도 기대된다. 특히, 대규모 집단에너지 공급시설 확보로 지역 열 요금이 최대 15% 인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형 분산특구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대규모 투자사업에 따른 총 사업비 2조 5774억 원 기준으로 생산유발효과 4조 7497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조 7118억 원, 고용유발효과 1만 1000명이 기대된다.
한편, 이번 1호 분산특구사업 공모에는 부산시를 비롯해 울산, 인천, 광주, 경기, 경북, 충남, 충북, 전남, 전북, 제주 등 11개 광역 지자체가 사업 신청서를 제출할 것으로 전해지는 등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산업부는 이달중 사전검토(한국에너지공단)에 이어 5월 중 계획평가(실무위원회) 및 발표평가를 거쳐 심의의결(산업부 에너지위원회)에 이어 올상반기 중 1호 분산특구를 지정 고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