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 2025-02-05 18:27:30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10년 만에 2만 세대를 넘었다. 특히 부산과 울산, 경남의 미분양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
국토교통부가 5일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 173세대로 집계됐다. 수도권에서의 미분양은 대부분 경기도에서 나왔다. 지난해 말 경기도의 미분양 주택은 2433세대 증가한 1만 2954세대다.
비수도권에서는 울산의 미분양 증가세가 도드라졌다. 지난해 말 울산의 미분양 주택은 4131세대로 한 달 새 52.4%(1420세대)나 급증했다. 전국에서 미분양 주택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로 집계됐고, 대구·경북(6987세대), 경남(5347세대), 부산(4720세대)이 그 뒤를 이었다.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말 2만 1480세대로 전월 대비 15.2%(2836세대) 늘었다. 악성 미분양이 2만 세대를 넘어선 것은 2014년 7월(2만 312세대) 이후 10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특히 악성 미분양은 2023년 8월부터 17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말 부산의 악성 미분양은 1892세대로 전달보다 194세대 늘었다. 사하구(185세대)와 금정구(65세대)에서 크게 증가했다. 부산의 전체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7월 5862세대로 11년 3개월 만에 최대치를 갈아 치웠다. 이후 소폭 줄어들기는 했으나, 여전히 4000~5000세대를 유지하고 있다.
악성 미분양이 계속해서 쌓이자 정부와 여당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한시적 완화 등 비수도권 미분양 해소 대책 검토에 들어갔다. 국민의힘은 지난 4일 ‘경제 분야 민생 대책 점검 당정협의회’에서 정부에 비수도권 준공 후 미분양 주택에 대한 DSR 규제를 한시적으로 완화해 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