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 2025-09-07 16:13:09
제1야당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8일 이재명 대통령과 회동한다. 대여 강경 노선을 선언한 장 대표가 민주당의 ‘입법 폭주’를 정면으로 겨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발언 수위와 정치적 파장이 주목된다.
장 대표는 7일 오후 국회에서 비공개 지도부 회의를 열어 회동 의제와 발언 수위를 최종 점검했다. 이번 회동이 여야의 강대강 정국을 풀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신중히 대비하는 모습이다.
장 대표는 민주당의 일방적 국회 운영을 지적하며 여권의 전향적 태도 변화를 요구할 전망이다. 특히 민생 협치를 위해서는 여당의 ‘내란 정당’ 공세부터 중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또 국민의힘을 겨냥한 특검 수사와 민주당이 추진하는 3대 특검법(내란·김건희·순직해병 특검) 개정을 강하게 비판할 가능성이 크다. 장 대표는 이 대통령에게 “민주당이 특검을 통해 야당 탄압을 자행하고 있다”며 특검법 개정 추진 중단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민주당이 오는 25일 본회의 처리를 예고한 검찰청 폐지 정부조직법 개정안과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설치법에 대해서도 속도 조절을 주문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의 내란특별재판부 설치 추진도 국민의힘이 ‘야당 탄압’으로 규정하는 사안이다. 장 대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 관련 재판에서 유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재판부를 두려 한다고 보고 있다. 그는 지난 5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회가 특검법이나 특별재판부 설치 같은 법 때문에 교착상태에 막혀있는데,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것은 대통령”이라고 언급하며 이 대통령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 대통령과의 단독회담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의 대립 기조와 달리 실질적 성과를 내는 제안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번 회동에서 ‘여야정 국정협의체’ 구성을 거론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번 회동은 장 대표에게도 정치적 시험대다. 그는 민주당의 ‘입법 폭주’에 대한 우려를 전달하면서 제1야당으로서 존재감을 드러내는 동시에 가시적 성과를 거둬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당내에서 “대통령 좋은 일만 시켜줬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장 대표가 대통령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도 민주당을 견제할 마땅한 수단이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동시에 대여 투쟁의 동력을 강화하려는 계산도 깔려 있다. 대통령이 여당을 향해 입법 속도 조절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국민의힘은 “협치를 위해 손을 내밀었지만 거부당했다”는 프레임을 통해 투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회동이 성과 없이 끝나더라도 강성 지지층 결집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