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민주당 “물류단지 사업에 김해시·야권 불법 개입”

김해시·시행사 간 공동주택 건립 협약 존재
물류 시설만 있는 경남도 고시 내용과 달라
“김해시가 시행사에 2000세대 짓도록 압박”
일부 정치인 각종 인허가 개입 의혹 제기도

이경민 기자 min@busan.com 2025-08-04 14:29:14

더불어민주당 김정호 국회의원과 김해시의원들이 4일 김해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간이 추진하는 풍유일반물류단지 조성사업에 공동주택 단지를 포함하도록 김해시가 불법적으로 개입했다고 주장했다. 이경민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정호 국회의원과 김해시의원들이 4일 김해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간이 추진하는 풍유일반물류단지 조성사업에 공동주택 단지를 포함하도록 김해시가 불법적으로 개입했다고 주장했다. 이경민 기자

여권이 민간기업이 추진 중인 김해 풍유일반물류단지 조성사업에 김해시가 불법적으로 행정 개입을 했다는 주장을 내놨다.

동시에 야권 인사들의 배후설도 제기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정호(김해을) 국회의원은 4일 김해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풍유일반물류단지 조성 과정에서 드러난 김해시의 비상식적인 행정 개입과 불투명한 행정절차, 그 배후에 작용하고 있는 국민의힘 정치인들의 비리 의혹을 알리고자 이 자리에 섰다”고 밝혔다.

풍유동일반물류단지 조성사업은 2002년 경남도가 김해시 풍유동 179번지 일대 32만 3490㎡ 부지를 유통 업무·설비 용도 부지로 지정하면서 시작됐다. 첫 시행자가 사업을 추진하다 취소되자 이듬해인 2021년 케이앤파트너스가 사업을 이어받았다.

케이앤파트너스는 당시 사업지에 2700억 원을 투입해 화물터미널, 창고, 판매 시설 등을 짓기로 했다. 이에 경남도는 2023년 5월 경남도 물류정책위원회 심의를 열고 시행사가 공공의료원 터를 무상 제공하는 조건으로 승인했다.

그런데 2023년 8월 김해시가 이를 틀고 공동주택 건립을 제안했다. 김해 관문 중 하나인 서김해IC의 미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게 이유였다.

김 의원은 “홍태용 현 김해시장은 1년 4개월 동안 사업자에게 물류단지 조성사업을 포기하도록 압박해 지난해 9월 시행사 대표와 2건의 ‘상생 업무협약서’를 썼고 1건만 공개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공개하지 않은 상생 업무협약서에는 사업지에 물류시설 60%, 지원시설 40%를 조성하면서 지원시설에 주거시설 2000세대를 넣는다는 내용을 담겨있다”고 밝혔다.

경남 김해시 풍유동 179번지 일대 풍유일반물류단지 사업예정지. 이경민 기자 경남 김해시 풍유동 179번지 일대 풍유일반물류단지 사업예정지. 이경민 기자

실제 지난해 11월 경남도가 고시한 김해 풍유일반물류단지 지정과 지형도면은 김해시와 시행사가 작성한 상생 업무협약서와 그 내용이 다르다.

이어 김 의원은 “사업지 인근 17만여 평 땅에 경남도시개발공사와 김해시도시개발공사가 공동주택 단지 조성을 추진 중인데 굳이 물류단지의 40%를 공동주택 단지로 변경하려는 이유와 이면 협약서를 공개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이냐”며 홍 시장에게 공개 질의했다.

한편, 이 자리에서는 김해 내 야권 정치인들이 사업 인허가에 관여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김 의원과 민주당 소속 김해시의원들은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들이 시행사에 토지매입 계약금을 돌려줄테니 물류단지 조성사업을 포기하라고 압력을 행사한 점을 포착했다고 주장했다.

삼계동 백병원 의료부지와 부원동 NHN 데이터센터 부지를 주거용으로 용도변경 해준 것도 같은 맥락이라며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이어 “지금 지역사회에서는 국민의힘 소속 일부 정치인이 이익집단화해 여러 사업의 인허가에 관여하고 이권 사업에 적극 개입하고 있다는 의혹과 소문이 공공연히 나돈다. 경찰, 검찰에 고소·고발할 의지도 있다”며 “김해시장이 직접 나서서 해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해시 측은 “행정 절차상 미흡한 부분이 있어서 김해시의회에 늦게 알려줬을 뿐이지 이면 계약을 한 건 아니다”며 “경남도와 사업시행자가 협의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김해시도 상황에 알맞게 대처 해나겠다”고 해명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