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 2025-10-19 18:25:32
박형준 부산시장이 3선을 염두에 두고 지난 9월 정무 라인에 새 피를 전격 수혈했지만, 한 달여 지난 현재 오히려 기존 정무 라인보다 존재감이 더 약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박 시장은 지방선거가 9개월여 남은 지난 9월 1일 정무 라인을 전면 개편했다. 새 대변인에는 원영일 시민소통보좌관, 대외협력보좌관에는 이치우 전 대통령실 정무행정관, 미래전략보좌관에는 전성하 전 부산시 투자유치협력관이 임명됐다. 정무기획보좌관에는 김민수 전 해양수산부 장관정책보좌관을 영입했다.
정무 라인의 주요 업무는 민심을 수렴해 시장에게 전달하고 정책을 만들며 여론을 설득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내외적인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민과 시의회, 시장 사이 소통 창구 역할을 하며 민심과 시정 방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예방해야 한다. 새로 영입된 이들 역시 부산시 내부는 물론 시의회를 비롯한 외부 기관과의 소통을 위한 가교 역할을 톡톡히 해줄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한 달여가 지난 현재 오히려 대외 소통이 이전보다 부족하다는 지적이 여기저기에서 터져나오는 실정이다.
특히 국민의힘 소속 의원이 압도적 다수인 시의회와도 소통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는다는 비판이 지역 정가에서 공공연하게 흘러나온다. 지난 7월 박 시장과 시의회와 연쇄 만찬을 가지며 접촉을 강화하는 듯 했으나, 이후 소통 채널이 끊기며 용두사미에 그치게 됐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시의회에 따르면, 새로운 정무 라인이 들어선 이후 시의회 의원들과 제대로 된 상견례도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시의회 내부에선 의회 경시 분위기가 이미 팽배해진 것 아니냐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지역 사정을 세밀히 아는 시의원들은 대외 홍보나 주민 여론 조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런 시의원들과의 소통 부재는 지역민과의 소통 부재로 직결된다. 실제로 시가 백양터널 통행료 문제나 산업폐기물 매립장 등 기피 시설 설치를 위해 관련 조례를 개정하려 할 때 시의회와 소통 부재로 갈등을 빚었고 이는 곧바로 지역 여론 악화로 이어진 바 있다.
이에 다음 달로 예정된 부산시 행정사무감사가 새로운 정무직들의 역량 시험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시가 적극적인 행정에 나서야 하는 상황에서, 또다시 의회에 제대로 된 설명도 없이 일방적으로 정책을 추진한다면 시장 지지율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동부산권을 지역구로 둔 한 시의원은 “새롭게 임명된 정무 라인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 모르겠다. 시정 홍보만 하려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원도심을 지역구로 둔 시의원도 “소통은 고사하고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이 부산에 관심을 두고 여론을 주도하는 상황에서 판을 흔들 의제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